웰크론 1분기 시세 보고서가 공시되었습니다.
웰크론은 마스크 관련 주로써 저점대비 3배이상 오른 종목이라 많은 분들이 기대하고 있을 것 같은데요
분기보고서를 보면서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웰크론은 섬유, 플랜트, 건축설개, 신생에너지와 관련된 일을하고 있는데
최근에 소비재 중 섬유 부분에 있어서 마스크 관련주로 분류되었습니다.
사업부문의 시장여건 및 현황
[섬유 부문]
(산업의 특성)
우리나라의 섬유산업은 원자재의 1/3을 해외에서 수입, 가공하여 완제품을 만들며 그 완제품의 2/3를 해외로 수출하는 해외의존형, 수출주도형 산업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생산구조는 원료, 원사, 직물, 염색, 의류, 제조, 유통으로 이어지는 다단계로 형성되어 있고 원료는 대기업, 제조 및 유통은 중소기업이 점유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과거 섬유산업은 산업기반의 선진국형 변화가 늦어 국내 타 산업 또는 해외 섬유산업의 경쟁력 약화의 결과를 가져왔고 2007년 4.1%까지 제조업 구성비율이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약점으로 지적되었던 화학섬유의 공급과잉문제는 구조조정을 통하여 해소되었고 이와 함께 패션산업과 산업용 신기술 섬유분야의 발전을 통하여 고부가가치 고용산업으로 다시 국가 기간산업의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시장여건)
섬유산업은 전후방 파급 효과가 큰 우리나라 최대 고용산업으로 생산, 고용, 업체 수 비중이 높은 핵심 기간산업(업체수의 11.9%, 고용의 7.7%, 생산액의 2.9%를 차지)이며 우리나라 주력 외화 가득 산업이자 수출산업으로 무역수지는 '02년까지 매년 100억불 이상 흑자를 기록 하였습니다. 또한 지난 60년간 축적된 경영, 생산기술을 바탕으로 섬유수출 세계 8위(2.1%) 섬유생산기술 세계 4위로 그 우수성을 인정 받고있으며, 국내 섬유ㆍ패션산업은 제조업체가 47,400여개(1인이상), 도매 유통업체가 27,000여개사에 달하는 등 전국적 유통망을 형성하고 있어 국민 경제ㆍ생활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미래 섬유기술은 기존 섬유소재의 기반기술과 6T(IT, BT, NT, ET, ST, CT) 신기술이 융합되면서 고감성, 고기능, 고성능 섬유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향후 SUPER섬유(극한환경 섬유), LOHAS섬유(친환경 섬유), SMART섬유(생각하는 섬유), NANO섬유(융학기술 섬유)등의 분야가 미래 섬유기술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SUPER섬유 및 NANO섬유는 한국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조선 등과 미래형 군사 섬유제품에 사용되는 강력한 내구성을 보유한 첨단 기능성 소재로서 국내 R&D에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IT와 섬유기술의 컨버전스(Convergence)로 SMART 의류, 입는 컴퓨터, i-패션 등 새로운 산업의 등장과, 온실가스 및 환경오염 규제, 에너지환경에 대한 의식강화 등으로 녹색성장을 위한 친환경 제품 및 LOHAS섬유의 개발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기반 구축을 위하여 1조 2,000억원 규모의 R&D 자금 지원을 예정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섬유산업의 고부가가치 기술섬유 시대로 진입케하는 신 섬유 로드맵의 핵심 골자이며,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이 독점하고 있는 고기능성 섬유 분야에 집중적인 기술개발과 투자를 통해 한국의 섬유 산업을 기술 선진국형 첨단산업으로의 변신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한국섬유산업협회 국문 홍보지 발췌]
(시장 경쟁우위 요인 및 회사의 강/단점)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분야는 산업용 섬유와 생활용 섬유로서 극세섬유의 장점인흡수성, 닦음성, 흡한속건 특성을 기반으로 한 클리너, 생활용품, 반도체 와이퍼등의 고기능성 섬유제품과 방사방식의(melt blown) 나노섬유를 기반으로 한 필터여제, 위생용 섬유, 보호용 섬유 제품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주력품목인 고기능성 청소용품은 내수보다는 수출 위주로 영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특히 극세사 크리너는 2001년 3월 산업자원부로부터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될 정도로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뛰어난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지난 2000년부터 3M 본사와 독점공급계약을 체결하여 전 세계 3M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럽의 해외사무소를 중심으로 대형거래처 발굴에 성공하여, 전세계 약 40여개국에 극세사 청소용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미국 FDA로부터 중금속안정성에 대한 인증 및 유럽 환경마크를 획득하여 유해물질 규제가 엄격한 선진국 진출에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으며, 당사의 제품이 환경친화제품으로 인식되면서 신규 바이어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극세사 목욕용품은 일반 소재보다 흡수성이 3배 이상 탁월하고, 뛰어난 터치감과 보온성 등의 장점으로 면소재의 목욕용품 시장을 빠르게 대체해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극세사 소재 뿐만 아니라, 유기농면, 대나무섬유, 키토산섬유 등을 소재로한 자연친화제품을 출시하여 사업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으며, 2011년 친환경 침구 전문 브랜드 'Sesa Living'을 런칭하여 알러지방지 침구류, 아토피방지 유아용품등 웰빙형 복합매장으로 확대개편한 대리점을 개설 중 입니다. 2014년 조선일보선정 '2014 품질만족대상'수상 및 한국경제신문 선정 '여성소비자가 선정한 2014 프리미엄브랜드 대상'을 수상하는 등 높은 품질수준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세사리빙은 고밀도 극세사로 제작된 알러지방지 침구를 주력으로 러그, 타올, 패브릭소품 등 친환경 침실전문점 개설하여 현재 199개의 대리점을 운영 중에 있으며, 전국각지에 223개의 매장 확대를 목표로 내수시장 매출확대를 본격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WELCRON GLOBAL VIETNAM JOINT STOCK COMPANY(베트남 소재)를 2013년 유한회사에서 주식회사로 전환하고 생산기지의 교두보를 확보함으로써 생산단가의 경쟁력을 확보, 국내외 침구류 및 생활용품류 제품들의 이익이 증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요약 제무 재표 입니다.
매출액은 1분기 금액이 크게 느껴지지 않지만 재작년 단기 순이익과 비교해보면
큰 매출 성장을 이뤄낸 것으로 보입니다.
18년도 사업년도에서는 31억원의 당기 순이익이 있었지만 20년도 분기에 13억을 해냈습니다
그렇담 좋은 것인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마스크 원단을 생산하는 분야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하여 크게 이슈화가 된 만큼 매출액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마스크부분에서 2019년도 매출이 85억원 가량 전년도는 76억원 가량이었는데 이번 1분기에서는 생각보다 맣은 매출이 없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이부분은 2분기 매출을 확인 해봐야겠습니다
기타매출로 원사 부재료와 반제품 매출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판단되는데 작년 사업년도 18년도 사업년도와 비교해도 큰 성장입니다
제품 매출은 별로... 기타 매출에 원사 부재료 및 반재료 매출 크게 성장!
웰크론은 나노섬유를 제작해서 반제품 상태로 완제품 제조업차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완제품제조업자가 나노섬유를 구매해서 소비자에게 판매해는 형태죠
웰크론의 재무제표
웰크론 분기보고서
1분기를 전년 동기와 비교해보면 매출의 변화는 크게 없고 원가가 조금 상승했지만
판관비부분에서 절약을 한것 같습니다
기타영업외수익 금융비용이 눈에 들어오네요